Github commands
Github 연결
- 맥 OS에는 기본적으로 git이 설치되어있습니다.
1 | git --version |
Github이랑 컴퓨터랑 연동(처음 등록할 경우) 및 기본 명령어
- 일단 깃허브에
+
를 눌러서 repo를 생성하고 다음과 같이 진행하면 됩니다.
요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.
1 |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|
git config (컴퓨터에 깃허브 아이디,이메일,페스워드(토큰)을 등록하는 명령어)
1 |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YOUR_NAME |
git init (컴퓨터에 github repo를 연결하는 명령어)(git clone으로 할 경우 이 명령어를 사용할 필요 없음)
- 깃에 연결할 폴더에 cd 명령어로 이동 후, 해당 명령어 실행 시 .git파일 생성(숨김 파일)됨
- 동시에 깃명령어 수행하는 폴더로 변경(iterm2를 사용할 경우(커스터마이징) 브런치네임이 나옴)
1 | git init |
git clone (보통 url.git)
- git clone ../StudyforGit(repository name)
- 상대방, 혹은 자신의 깃에 연결하여
다운
을 받음 - 폴더나 url에 연결 url에 보통 연결
1 | 맨 뒤에 보통 .git을 붙여줘야 한다. |
git status
- 파일 수정 후 상태 확인 창.(확인 할 필요는 없지만 초반에는 도움이 많이 되는 명령어)
- 상대방이 수정 했을 경우에도 도움이 되니 초반에 많이 사용하도록 해보자.
1 | git status |
git add ‘filename’ or . or ‘-A’
- 파일 수정 후 페이지에 변경할 파일명 등록. ‘.’이나 ‘-A’입력 시 폴더 전체를 등록함
1 | git add . |
git commit -m ‘message’
1 | add한 파일들을 홈페이지에 올림. |
git push
1 | commit한 파일을 홈페이지에 확정으로 올림. |
git pull
1 | 홈페이지에서 수정된 정보를 디렉토리와 비교해서 업데이트(혼자 작업할때는 거의 사용 안함) |
변경 로그 확인(log, diff)
1 | git log #전체 로그 출력 |
add된 명령 취소하기(커밋 전)
1 | git reset HEAD^ |
git revert(push된 명령 취소하기)(로그 남음)
1 | log에서 커밋된 로그(ex.abdc0123abdc0123)를 되돌리기 |
git reset(push된 명령 취소하기)
- revert랑 유사하지만 reset은 로그를 남기지 않기때문에 revert가 보다 유용함
1 | git reset --hard abdc0123abdc0123 |
revert한것을 다시 되돌리고 싶을 경우
1 | revert한 로그를 다시 revert하기 (1으로 머지) |
branch 사용하기
branch 리스트 확인
1 | 현재 연결된 브렌치를 확인 *로 표시됨. |
branch 생성 및 선택
1 | 생성(작업 후 add, commit까진 작업이 동일함) |
새로운 branch로 푸쉬하기
1 | git push --set-upstream origin test_branch_name |
branch 끼리 푸쉬된 항목 합치기
1 | 다시 메인 업스트림 branch로 이동(보통 main) |
branch 삭제
1 | (merge안하고 하면 경고뜸. 무시해도 됨) |